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10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죽이죽이

JS : 자주 사용되는 연산자 5가지 본문

Javascript

JS : 자주 사용되는 연산자 5가지

죽이죽이 2024. 2. 6. 11:47
  • 연산자
※ 연산자의 종류

※ 사용 방법
- 할당 연산자 :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기본적인 연산자

let x = 10;​


- 비교 연산자 : 값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연산자

let a = 5;
let b = '5';

console.log(a == b); // true (값만 비교)
console.log(a === b); // false (값과 타입 모두 비교)
console.log(a != b); // false (값만 비교)
console.log(a !== b); // true (값과 타입 모두 비교)


- 산술 연산자 : number 타입 데이터를 이용한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

let num1 = 10;
let num2 = 5;

console.log(num1 + num2); // 15 (덧셈)
console.log(num1 - num2); // 5 (뺄셈)
console.log(num1 * num2); // 50 (곱셈)
console.log(num1 / num2); // 2 (나눗셈)
console.log(num1 % num2); // 0 (나머지)


- 논리 연산자 : 조건문과 제어문에서 사용되며, 논리적인 비교를 수행하는 연산자

let isTrue = true;
let isFalse = false;

console.log(isTrue && isFalse); // false (두개 모두 true 일때 true 반환)
console.log(isTrue || isFalse); // true (둘중에 하나라도 true 이면 true 반환)
console.log(!isTrue); // false (true -> false / false -> true)


- 삼항 연산자 : 세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며, 조건에 따라 두 개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환

let age = 32;

// 조건 ? "참일 경우" : "거짓일 경우"
let isAdult = age >= 20 ? "성인" : "미성년자";
console.log(isAdult); // "성인"


- 병합 연산자 : null 또는 undefined 값을 처리하는데 사용

let value1 = null;
let value2 = "Hello, World!";

// 일반적인 방법
let result1 = value1 !== null && value1 !== undefined ? value1 : value2;

// 병합 연산자 사용
// value1이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닐 경우 value1 / null 또는 undefined일 경우 value2
let result2 = value1 ?? value2;

console.log(result1); // "Hello, World!"
console.log(result2); // "Hello, World!"

 

 

  • Truthy, Falsy